취업포기 니트족 급증 3년 이상 미취업자 8만명 돌파
취업을 포기한 '니트족' 청년, 3년 이상 미취업자 8만명 돌파
미취업 청년 10명 중 4명 니트족
니트(NEET,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 "니트족"이라는 용어는 그 의미에서도 알 수 있듯이 교육, 고용 또는 훈련에 참여하지 않는 개인들을 지칭하는데, 이러한 상태는 소득 불평등, 경제 불확실성, 사회적 격차와 같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당사자뿐만 아니라 국가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나라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미취업 청년들 중에서도 교육이나 직업 훈련 없이 3년 이상 집에서만 생활하는 '니트족'의 수가 8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3년 이상 취업하지 않은 청년 10명 중 4명이 해당된다는 충격적인 수치입니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15∼29세 청년층 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으로 최종 학교를 완료한 후 3년 동안 일자리를 찾지 못한 청년은 총 21만8천명이었습니다. 이 중 36.7%인 8만명이 집에서 일상을 보내는 니트족으로 분류되었습니다.
미취업 기간 3년 이상 36.7%
이러한 니트족의 비중은 미취업 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미취업 기간이 6개월 이하일 때는 23.9%였지만, 6개월 이상 1년 미만일 때는 27.3%로 상승하였고, 1년 이상 2년 미만 및 2년 이상 3년 미만에서는 각각 19.2%, 21.1%로 감소한 뒤, 3년 이상일 때는 급증하여 36.7%에 달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3년이 지난 후에는 대부분의 청년들이 취업에 대한 희망을 잃는다는 해석을 받고 있습니다.
실제로 취업 활동에 참여하는 청년의 비율도 이를 반영합니다. 미취업 기간이 6개월 미만일 때와 1∼2년 미만일 때는 각각 53.0%, 58.2%로 50%대를 보였으나, 미취업 기간이 3년 이상이 되면 급격하게 36.5%로 감소하였습니다.
니트족 지속 상승 중
코로나19 전후로 볼 때, 니트족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상승 추세입니다.
2018년 24.0%에서 2019년 24.7%, 2020년 25.5%로 상승하다가 2021년에는 34.7%로 큰 폭의 증가를 보였고, 지난해는 37.4%에 달했습니다.
장기적으로 니트족의 절대 수는 감소하는 추세로, 2021년 9만6천명에서 지난해 8만4천명, 올해는 8만명으로 줄었습니다. 그러나 2018년의 5만4천명, 2019년의 6만4천명에 비하면 여전히 높은 수치로, 감소하는 청년 인구 대비 니트족 비율의 상승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단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승스님 조계종 전 총무원장 칠장사에서 숨진 채 발견 : 정치성향 (0) | 2023.11.30 |
---|---|
2030 부산엑스포 유치 실패 : 윤석열 1회 25억 해외여행만 다닌 격! (3) | 2023.11.29 |
압구정 박스녀 알몸 “모두 만져주면 좋겠다” (0) | 2023.10.17 |
가세연(가로세로연구소) 출신 유튜버 김용호 극단선택 추정 (0) | 2023.10.13 |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진교훈 압승 이준석 예상적중 (0) | 2023.10.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