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북 미군 장병, '미군에서 학대받고 인종차별 겪어 망명' 주장
주한미군 소속 병사의 월북 사건, 북한이 밝힌 공식 입장
미국 월북 관련 북한의 첫 입장
미군장병 월북,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견학 중 월북
미군장병 월북,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견학 중 월북 JSA를 견학하던 미국인 군사분계선을 넘어 월북 공동경비구역(JSA)에서 미국인 한 명이 북한으로 넘어간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판문점 관리
www.18cnn.com
지난달 판문점에서 발생한 주한미군 소속 병사의 월북 사건에 대한 북한의 공식 입장이 나왔습니다.
8월 16일, 북한의 조선중앙통신사는 트래비스 킹 이병의 월북 사건에 대한 중간 조사 결과를 공개하였습니다.
트래비스 킹 이병은 지난 7월 18일 오후 3시 30분경, 관광객들과 함께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을 방문하였습니다. 그러나 북한은 킹 이병이 군사분계선상의 조미(북미) 군부접촉실과 경무관 휴게실 사이에서 의도적으로 북측 구역으로 침입하였다고 주장하며, 이후 근무 중이던 조선인민군 군인들에 의해 단속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사건은 지난달 18일 발생한 이후 한 달여 만에 북한이 처음으로 공식적인 입장을 밝힌 것입니다. 앞으로의 조사와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계속해서 주목해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비인간적인 학대와 인종차별 주장
북한 측은 트래비스 킹 이병의 조사 결과를 공개하면서, 그가 공화국 영내에 불법침입한 사실을 인정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트래비스 킹은 미군 내에서 겪었던 비인간적인 학대와 인종차별에 대한 반감으로 인해 북한으로 넘어올 결심을 했다고 자백했다고 합니다. 그는 또한 미국사회의 불평등에 환멸감을 느껴 제3 국 혹은 북한에 망명할 의사를 밝혔다고 합니다.
하지만 북한은 아직 킹 이병에 대한 최종 결정이 내려지지 않았다며 조사는 계속되고 있다고 전하였습니다. 이로 보아, 킹 이병의 신속한 석방은 예상보다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추가 징계절차 진행 중 무단 월북
킹 이병의 과거 배경을 조금 더 살펴보면, 그는 주한미군에서 복무하던 중 폭행 혐의로 40여일 간 구금을 받았으며, 추가 징계를 위해 미국 본토로 돌아가기로 되어있었습니다. 그러나 인천국제공항에서는 미국행 비행기를 타지 않고, 비밀리에 공항을 빠져나간 후 다음날 판문점 견학에 참여하여 무단으로 북한으로 들어갔습니다.
미국 측은 이 사건 후 유엔군사령부(UNC)를 통해 북한과의 대화를 시도하였으나, 킹 이병의 구금 사실만 확인하고 추가적인 협의는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앞으로 어떠한 결정이 내려질 지, 주목해보아야 할 사안입니다. 안전과 관련된 이슈에는 항상 주의를 기울이시기 바랍니다.
'단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화영 부지사, 검찰이 김성태 쌍방울 회장 통해 회유/압박 (1) | 2023.08.19 |
---|---|
이동관 아들 1학년 담임 교사 '심각한 학교 폭력이었다' (0) | 2023.08.18 |
여름에 모기인줄, 말라리아 환자 500명 넘어 : 증상 관련주 (0) | 2023.08.16 |
이준석 국민의힘 전 대표 "잼버리 예산 80%, 윤석열 정부 지출" (0) | 2023.08.14 |
잼버리 사태 전세계 무더기 환불 소송 예상 문재인 사과 (0) | 2023.08.14 |
댓글